-
[Network] 5G에 왜 3.5GHz, 28GHz 대역을 쓸까.. 그리고 주파수 경매?Network 2020. 2. 26. 02:40
목차
1. 주파수의 특징
2. 5G 주파수 대역의 특징
3. 주파수 경매
1. 주파수의 특징
많은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헤서는
고주파
를 사용해야 함.
허나 단점!고주파
는 직진성이 강하여 방해물을 만나면 되돌아오거나 비나 눈이 오면 전파가 비나 눈에 흡수되거나 소멸됨.
그러면저주파
는? 반대!저주파
는 회절률이 좋아 벽과 벽 사이의 제한도 쉽게 통과하고 눈이나 비와 같은 자연 현상에 강함.
그러나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양이 적음.고주파: 많은 양의 데이터 전달 / 장애물에 막혀서 멀리 도달하지 못함
저주파: 적은 양의 데이터 전달 / 장애물을 피해서 멀리 도달 가능2. 5G 주파수 대역의 특징
주파수의 특징을 알았다! 그러면 요즘 난리치는 5G는 고주파일까 저주파일까?
정답은 고주파! 뿐만 아니라 초고주파까지 사용한다.
5G는 고주파3.5GHz
과, 초고주파28GHz
를 사용한다.
그래서 아까 말했듯이 LTE보다 데이터를 많이 많이 전달할 수 있지만,
장애물에 막혀서 멀리 못가기 때문에, 기지국을 하나 세우면 LTE보다 훨씬 작은 지역에서 이용 가능하다 :(
아래 그림을 보면 커버리지(도달 가능한 지역)가 얼마나 차이나는지 알 수 있을 거다.
source: "5G 서비스 지도 보니…단말기 교체할까 말까?"- 기지국? 관련 포스팅 > https://dokylee.tistory.com/6
3. 주파수 경매
주파수는 정부꺼라서 SKT, KT, LGU+가 돈주고 사서 쓴다!
아래 기사를 보면 이번 5G 상용화를 위해 이통3사가 경매한 결과를 볼 수 있다.
현재 2020년 2월 5G는 3.5GHz를 쓰고있다. 28GHz는 곧 RFP가 나온다고 한다.5G 주파수 경매 '쩐의 전쟁' 없었다…SKT·KT 최대 대역폭 확보
2단계 위치 경매에서는 LG유플러스 3.42∼3.5㎓, KT 3.5∼3.6㎓, SK텔레콤 3.6∼3.7㎓ 순으로 결정됐다. SK텔레콤은 경매 결과에 대해 "이번 주파수 경매의 핵심인 3.5㎓ 대역에서 '최대 총량'인 100㎒폭과 함께 '노른 자위'로 평가되는 C대역을 확보해 세계 최초 5G 상용화 선도의 초석을 마련했다"고 만족해 했
news.joins.com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하나의 대역으로는 성능 부족! Carrier Aggregation(CA)으로 높이기 간단 설명 (0) 2020.02.26 [Network] 진짜 5G, 가짜 5G? LTE를 이용해 5G를 상용화하다 - NSA, SA에 대하여 (0) 2020.02.26 [Network] 듣기만 해도 어려워 보이는 RAN? 간단히 알아보기 (0) 2020.02.26 [Network] 모바일 네트워크 한국 시장 Mobile Network Status in South Korea (0) 2020.02.26 [Network] Bandwidth? Throughput? 그림으로 간단하게 알기 (0) 2020.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