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Python˙Matplotlib˙Pyplot] imread("경로")에서 뭔 경로를 써야 할지 모르겠을 때Trouble Shooting 2020. 2. 28. 21:32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from matplotlib.image import imread img = imread('data/img/ggobuk.jpeg') plt.imshow(img) plt.show() * imread에 쓴 파일 디렉토리 구조 EWHA_NLP (folder) ㄴ 1.6 Matplotlib.ipynb (file) ≪현재 코딩 중인 파일 ㄴ data (folder) ㄴ img (folder) ㄴ ggobuk.jpeg (file) imread("경로")에 넣는 경로는 현재 1.6 Matplotlib.ipynb (file)에 코딩을 하고 있으니까, 코딩하고 있는 폴더가 현재 경로라고 생각하면 됨. 현재 경로에 대한 상대적인 경로를 imread안에 넣어주면 됨. ..
-
[NLP] Numpy와 Matplotlib 라이브러리 jupyter로 스터디↗ML/NLP 2020. 2. 28. 18:46
티스토리에 직접 포스팅하는 것보다 jupyter로 보는게 더 심플해서 github주소로 포스팅~ URL 누르면 넘어간다 :) Category URL 1.5 Numpy https://github.com/dokylee54/python-NLP-Study/blob/master/1.5%20Numpy.ipynb 1.6 Matplotlib https://github.com/dokylee54/python-NLP-Study/blob/master/1.6%20Matplotlib.ipynb source: 밑바닥부터 시작하는 딥러닝 1 국내도서 저자 : 사이토 고키 / 이복연(개앞맵시)역 출판 : 한빛미디어 2017.01.03 상세보기
-
[Network] 이동통신의 꽃 핸드오버↗ ˙ Handover ˙ HONetwork 2020. 2. 27. 03:16
목차 1. 어떻게 움직이는데 데이터가 안끊기지? 2. 핸드오버 ˙ Handover ˙ HO ? 2. reference 1. 어떻게 움직이는데 데이터가 안끊기지? 생각해보면, 어떻게 우리가 걸어가면서 유투브를 볼 수 있는 걸까? 기지국은 띄엄띄엄 세워져있는데, 하나의 기지국이랑 나랑 통신하는 거고 -> 그러다가 기지국의 커버리지를 벗어나면? 어떻게 안끊기는 거지? " 바로 핸드오버라는 기술 덕분 :) " 기지국? 관련 포스팅 - https://dokylee.tistory.com/6 [Network] 듣기만 해도 어려워 보이는 RAN? 간단히 알아보기 목차 1. Access망 = 무선망 = RAN 2. 용어 Terminology 3. reference 1. Access망 = 무선망 = RAN 여기서부터 천천..
-
[Network] Uplink? Downlink? 그게 몬데.. 알아보자Network 2020. 2. 27. 02:41
목차 1. Uplink? Downlink? 간단 정의 1. Uplink? Downlink? 간단 정의 이미지가 잘 안보이겠지만...ㅎㅎ 아무튼 왼쪽에 있는게 기지국이고, 오른쪽이 단말(e.g. 핸드폰)이다. Uplink, Downlink는 아주 간단한 개념인데, 1. Uplink : [단말 -> 기지국]로 가는 라디오 전파 2. Downlink : [기지국 -> 단말]로 가는 라디오 전파 즉, 기지국 입장에서 생각해주면 된다! 기지국에서 나가는 거면 다운링크, 기지국으로 들어오는 거면 업링크! 기지국? 단말? 관련 포스팅 - https://dokylee.tistory.com/6 [Network] 듣기만 해도 어려워 보이는 RAN? 간단히 알아보기 목차 1. Access망 = 무선망 = RAN 2. 용어 ..
-
[Network] 하나의 대역으로는 성능 부족! Carrier Aggregation(CA)으로 높이기 간단 설명Network 2020. 2. 26. 03:16
목차 1. CA란? 2. 심플한 설명 3. CC? 용어 설명 4. CA의 종류 5. reference 1. CA란? CA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이용하여 광대역을 만들어 통신하는 것 레퍼런스 사진을 보자! 두 주파수 대역 (e.g. 850MHz, 1.8GHz)을 사용하는 CA 기지국에서 LTE 단말 (CA 지원 안함)과 LTE-A 단말 (CA 지원함)이 통신하는 경우를 나타냅니다. LTE 단말기는 850MHz 또는 1.8GHz 중 하나의 대역으로 최대 75Mbps까지 통신할 수 있고, LTE-A 단말기는 CA를 이용해 850MHz와 1.8GHz로 동시에 통신하여 최대 150Mbps까지 통신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역별 커버리지가 다르므로 LTE-A 단말은 위치나 전파 수신 상태에 따라 LT..
-
[Network] 진짜 5G, 가짜 5G? LTE를 이용해 5G를 상용화하다 - NSA, SA에 대하여Network 2020. 2. 26. 03:08
목차 1. 현재 5G 운용 방식 2. 용어 3. SA vs. NSA 4. 이통 3사가 SA로 넘어갈 때 고려해야 할 사항 5. reference 1. 현재 5G 운용 방식 현재 5G는 독자적인 코어(5GC)를 가지고 상용화된 것이 아니다. 기존에 깔려있던 LTE 환경에 5G 기지국(gNB)을 연결한 mixed 방식을 사용한다. 코어? gNB? 관련 포스팅 - https://dokylee.tistory.com/6 [Network] 듣기만 해도 어려워 보이는 RAN? 간단히 알아보기 목차 1. Access망 = 무선망 = RAN 2. 용어 Terminology 3. reference 1. Access망 = 무선망 = RAN 여기서부터 천천히 읽으면서 따라오면 쉬움! (모르는 용어가 나오면 밑의 용어 탭 참고..
-
[Network] 듣기만 해도 어려워 보이는 RAN? 간단히 알아보기Network 2020. 2. 26. 02:58
목차 1. Access망 = 무선망 = RAN 2. 용어 Terminology 3. reference 1. Access망 = 무선망 = RAN 여기서부터 천천히 읽으면서 따라오면 쉬움! (모르는 용어가 나오면 밑의 용어 탭 참고) 아래 그림은 서울에서 부산으로 전화통화를 하는 과정을 도식화한 것이다. 서울 핸드폰(UE)에서 내가 전화한 곳과 가장 가까운 eNB(LTE 기지국)으로 wireless하게 신호 전달 서울에 있는 Core망으로 신호 전달 부산에 있는 Core망으로 신호 전달 부산 친구와 가장 가까운 eNB로 신호 전달 wireless하게 부산 핸드폰(UE)로 신호 전달 Core망(유선망) = CN Access망(무선망) = RAN 2. 용어 Terminology UE: user equi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