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
[Network] 하나의 대역으로는 성능 부족! Carrier Aggregation(CA)으로 높이기 간단 설명Network 2020. 2. 26. 03:16
목차 1. CA란? 2. 심플한 설명 3. CC? 용어 설명 4. CA의 종류 5. reference 1. CA란? CA는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이용하여 광대역을 만들어 통신하는 것 레퍼런스 사진을 보자! 두 주파수 대역 (e.g. 850MHz, 1.8GHz)을 사용하는 CA 기지국에서 LTE 단말 (CA 지원 안함)과 LTE-A 단말 (CA 지원함)이 통신하는 경우를 나타냅니다. LTE 단말기는 850MHz 또는 1.8GHz 중 하나의 대역으로 최대 75Mbps까지 통신할 수 있고, LTE-A 단말기는 CA를 이용해 850MHz와 1.8GHz로 동시에 통신하여 최대 150Mbps까지 통신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역별 커버리지가 다르므로 LTE-A 단말은 위치나 전파 수신 상태에 따라 LT..
-
[Network] 진짜 5G, 가짜 5G? LTE를 이용해 5G를 상용화하다 - NSA, SA에 대하여Network 2020. 2. 26. 03:08
목차 1. 현재 5G 운용 방식 2. 용어 3. SA vs. NSA 4. 이통 3사가 SA로 넘어갈 때 고려해야 할 사항 5. reference 1. 현재 5G 운용 방식 현재 5G는 독자적인 코어(5GC)를 가지고 상용화된 것이 아니다. 기존에 깔려있던 LTE 환경에 5G 기지국(gNB)을 연결한 mixed 방식을 사용한다. 코어? gNB? 관련 포스팅 - https://dokylee.tistory.com/6 [Network] 듣기만 해도 어려워 보이는 RAN? 간단히 알아보기 목차 1. Access망 = 무선망 = RAN 2. 용어 Terminology 3. reference 1. Access망 = 무선망 = RAN 여기서부터 천천히 읽으면서 따라오면 쉬움! (모르는 용어가 나오면 밑의 용어 탭 참고..
-
[Network] 듣기만 해도 어려워 보이는 RAN? 간단히 알아보기Network 2020. 2. 26. 02:58
목차 1. Access망 = 무선망 = RAN 2. 용어 Terminology 3. reference 1. Access망 = 무선망 = RAN 여기서부터 천천히 읽으면서 따라오면 쉬움! (모르는 용어가 나오면 밑의 용어 탭 참고) 아래 그림은 서울에서 부산으로 전화통화를 하는 과정을 도식화한 것이다. 서울 핸드폰(UE)에서 내가 전화한 곳과 가장 가까운 eNB(LTE 기지국)으로 wireless하게 신호 전달 서울에 있는 Core망으로 신호 전달 부산에 있는 Core망으로 신호 전달 부산 친구와 가장 가까운 eNB로 신호 전달 wireless하게 부산 핸드폰(UE)로 신호 전달 Core망(유선망) = CN Access망(무선망) = RAN 2. 용어 Terminology UE: user equipment..
-
[Network] 모바일 네트워크 한국 시장 Mobile Network Status in South KoreaNetwork 2020. 2. 26. 02:46
목차 1. 등장인물 2. 전체 process 1. 등장인물 당신이 사용하는 네트워크는 SKT, KT, LGU+가 처음부터 끝까지 다~ 혼자서 뚝딱뚝딱 만들어서 서비스하는게 아니다. 대한민국의 네트워크 망은 다른 회사들이 지원하고, 예를 들어 SKT가 그걸 서비스로 뿅 만들고 그걸 유저가 요금제를 주고 사는 거다! 그러면 등장인물을 추려보자 =) 1. Client : 사용자들에게 데이터 서비스 제공 e.g. SKT, KT, LGU+ 2. Vendor : 이동통신 3사, 즉 client에게 네트워크 제공 e.g. Ericsson, Nokia, Huawei, Samsung, ZTE etc. 2. 전체 process Client(이동통신 3사)가 RFP(제안요청서) 올림 RFP: 음 이거 필요하고 이거 필요해!..
-
[Network] 5G에 왜 3.5GHz, 28GHz 대역을 쓸까.. 그리고 주파수 경매?Network 2020. 2. 26. 02:40
목차 1. 주파수의 특징 2. 5G 주파수 대역의 특징 3. 주파수 경매 1. 주파수의 특징 많은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헤서는 고주파를 사용해야 함. 허나 단점! 고주파는 직진성이 강하여 방해물을 만나면 되돌아오거나 비나 눈이 오면 전파가 비나 눈에 흡수되거나 소멸됨. 그러면 저주파는? 반대! 저주파는 회절률이 좋아 벽과 벽 사이의 제한도 쉽게 통과하고 눈이나 비와 같은 자연 현상에 강함. 그러나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양이 적음. 고주파: 많은 양의 데이터 전달 / 장애물에 막혀서 멀리 도달하지 못함 저주파: 적은 양의 데이터 전달 / 장애물을 피해서 멀리 도달 가능 2. 5G 주파수 대역의 특징 주파수의 특징을 알았다! 그러면 요즘 난리치는 5G는 고주파일까 저주파일까? 정답은 고주파! 뿐만 아니라 ..
-
[Network] Bandwidth? Throughput? 그림으로 간단하게 알기Network 2020. 2. 26. 02:13
목차 Bandwidth vs. Throughput reference Bandwidth vs. Throughput 이해가 빡! 되는 좋은 그림 레퍼런스를 찾았다. 그림 보기 전에 먼저 Throughput은 1초에 데이터가 얼마나 전송이 되는지 Bandwidth는 주파수의 최대와 최소의 차이값으로, 주파수 대역이 얼마나 넓은지 이라는 걸 알아두자. 두 가지 상황을 비교 Throughput Bandwidth 왼쪽 자동차 1대 1차선 오른쪽 자동차 5대 5차선 이제 Bandwidth가 넓을 수록 데이터가 더 많이 전송된다는 게 이해가 될 것이다! reference 포스팅> "What Is Throughput in Networking? Bandwidth Explained"